앵커 :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도발을 지속하고 있는 북한에 대해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경제적 고난과 불안정이라는 대가가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강 장관은 북한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할 신규 대북제재 조치의 필요성도 거듭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1일 한국 주재 외신기자들을 대상으로 최근 한반도 정세와 북 핵 문제 대응 방안에 대한 설명회를 열었습니다.
강 장관은 외교안보 정책의 가장 어려운 도전으로 북 핵 문제를 꼽았습니다.
특히 북한의 이번 6차 핵 실험은 북 핵 문제에서 외교적 해결을 위한 기회의 창을 열고자 했던 국제사회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규탄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의 경고를 노골적으로 무시한 북한의 도발에는 불안정과 경제적 고난이라는 대가가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강 장관은 이를 위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현저하게 강화할 신규 대북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에서 이뤄질 신규 제재의 핵심으로 대북 원유 수출 차단 문제가 논의된 것도 이런 배경에서라는 겁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 안보리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북 원유 수출 차단 조치의 경우 완전한 차단이 될 지, 단계적 조치가 될 지, 경감이 될지는 추가적으로 논의가 필요합니다. 안보리 차원의 결의를 포함해 추가 제재를 통해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와 압박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유엔 안보리는 현지시간으로 11일 오후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신규 대북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칠 예정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달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밝힌 북 핵 위협의 ‘레드라인’, 금지선과 관련해 강 장관은 북한이 핵개발의 완성단계에 진입하고 있다는 엄중한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의 경각심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 핵 문제를 둘러싼 한미 공조도 그 어느 때보다 심도 있고 긴밀히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