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오는 17일 한국을 방문해 박근혜 대통령과 회담할 계획입니다. 정아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국무부는 11일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케리 장관이 오는 16일 중국을 방문한 후, 17일과 18일 이틀간 한국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국제 현안 그리고 지역 및 양국 관계를 협의한다"고 밝혔습니다.
마리 하프 : 케리 장관은 박 대통령과 윤병세 외교 장관을 만나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과 국제 현안 그리고 지역, 양국 관계를 협의할 계획입니다.
마리 하프 국무부 대변인 대행은 또 “(이번 서울 방문에서) 북한 문제도 논의의 주제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케리 장관의 이번 방한은 지난 2월 이후 1년3개월여만에 이뤄지는 것입니다.
케리 장관은 또 가서명한 한미원자력협정을 비롯해 한미간 현안은 물론, 역내 및 국제적 사안을 아우르는 정상회담 의제 등을 조율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최근 서북도서 해역에서의 무력도발 위협, 동해상에서 함대함 미사일 발사, 잠수함 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 등 북한의 잇따른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비롯해 북핵 공조 등도 논의될 전망입니다.
한편, 일각에서는 케리 장관의 방한 자체가 한미동맹의 공고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하프 대변인 대행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수중 사출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아직 언급할 바가 없다”고 말하면서도, 북한에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키고, 긴장 고조 행위를 자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미국 고위 관리는 11일 프랑스 통신사 AFP에 “(북한이 주장하는) 그것은 탄도 미사일이 아니었다”며 북한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수중 사출 시험을 할 능력을 전혀 갖추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