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과 중국의 정상이 27일 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 보유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한중간 정상회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강도 높은 표현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과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기 위한 합의 사항 등을 담은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을 채택했습니다.
양측은 총 8개 분야에서 협정과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논의를 했지만, 가장 관심을 끈 분야는 북한의 핵 문제였습니다.
공동성명에서 양측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및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넷째, 우리 두 정상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북한의 핵보유는 용인할 수 없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하고, 북한의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의 평화 안정 유지가 양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함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3박4일 일정의 이번 국빈 방문에서 최대 관심사는 양국 정상이 어느 정도의 강도로 북한에 비핵화를 요구할 것인가에 모아졌습니다. 뚜껑을 열어본 결과, 표현의 강도가 높아진 것은 물론이고 표현의 구체성도 눈에 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최명해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연구실 수석연구원: 과거에는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견지한다는 식으로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표현을 하는 데 그쳤다면,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핵개발이 한반도 및 세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든지, 안보리 결의나 9.19 공동성명이 이행되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는 등 구체적으로 표현됐다는 점에서 많이 진척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 수석연구원은 또 한국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의 외교담당 국무위원간 대화체제를 구축하기로 하고 양국 외교장관이 상호방문을 정례화하기로 하는 등 다양한 대화 통로를 구축하기로 한 점을 지적하면서 “이는 한국과 중국의 대화를 미국과 중국의 전략대화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양측은 “6자회담 틀 내에서 각종 형태의 양자 및 다자대화를 강화하고, 이를 통하여 한반도 비핵화 실현 등을 위한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해 긍정적인 여건이 마련되도록 적극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양측은 또 “한국과 북한이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로서 당국간 대화 등을 통해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이와 함께 두 정상은 높은 수준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조속히 체결해 2015년 3천억불 교역 달성이라는 목표를 이룬다는 데도 뜻을 같이했습니다.
이날 두 정상은 당초 예정보다 30분 긴 2시간에 걸쳐 회담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취임 후 처음이고, 미국에 이어 두 번째 외국 순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