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강산 회담 내달 25일 개최 제의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는 북측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오는 22일 금강산에서 열자고 제의한 데 대해 한 달가량 여유를 두고 내달 25일 개최하자고 수정 제의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연계 문제를 둘러싼 남북 간의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은 20일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 제의에 남한이 호응해 나올 것을 촉구하는 통지문을 보내왔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의 통일부는 “조급하게 회담을 열기보다는 9월 25일 금강산에서 갖자”는 입장을 북측에 전달했습니다.

통일부는 북한에 보낸 통지문에서 “고령의 이산가족이 유명을 달리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감안해 먼저 인도적 현안인 이산가족 상봉을 성공적으로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또 “이산가족 문제는 순수한 인도적 사안인 만큼 금강산 관광 사업과 연계돼 있지 않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이 이산가족 실무접촉 장소를 판문점으로 거듭 제안한 데 대한 북한의 추가적인 반응은 없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금강산 관광 재개가 북한으로의 대량 현금 유입을 금지한 유엔안전보장 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안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이 같은 주장은 한국의 일간지 문화일보가 20일 자 신문에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겁니다.

이에 대해 한국의 외교부는 “금강산 관광 문제가 안보리 결의안 조항의 영향을 받는지는 안보리가 최종 판단할 일”이라고만 답했습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 : 남북관계와 관련된 특정 분야가 이러한 조항 해석에 적용을 받는지는 최종적으로 안보리가 유권 해석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예단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한편, 금강산기업인협의회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 정부가 북측이 제안한 금강산 실무회담에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를 알리기 위해 협의회는 오는 23일 통일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최요식 금강산기업인협의회 회장 : 금강산 관광이 5년간 중단되면서 저희 관련 기업들이 쓰러져 죽게 생겼습니다. 개성공단과 달리 정부가 저희에게는 지금까지 보상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개성과 금강산의 차이를 국민들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북한은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이후 금강산지구 내 남측 재산을 몰수하고 특구로 만들어 자체 개발에 나섰지만,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람선을 활용한 해상관광과 연계해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려 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