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금강산 회담 연기에 ‘유감’ 표명

0:00 / 0:00

앵커 :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당초 제안일보다 일주일 늦은 오는 10월 2일 개최하자는 남측의 수정 제안에 유감을 표명하고 재고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남한 정부는 이에 대해 "심사숙고한 결정이었다"면서 "북측이 호응해 올 것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다시 전달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 일정을 놓고 남북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남측이 수정 제의한 10월 2일 회담 일자에 북측이 유감의 뜻을 전하고 재고를 요구해왔기 때문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지문을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전달해왔다”며 “그러나 남측이 제의한 10월 2일 제의에 대한 추가 일정은 보내오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남측의 10월 2일 수정 제안은 심사숙고한 결과”라며 “북측이 호응해 올 것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다시 전달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통일부는 28일 오전 정례회견에서 “북한이 금강산 관광 시설을 일방적으로 몰수, 동결한 것은 부당한 조치”라며 “지금이라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 금강산과 관련된 북한의 부당한 조치에 대해서는 우리가 기본적으로 그것은 인정하는 게 아닙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고, 북한이 부당한 조치를 바로 철회하고 원상회복해야 된다는 입장 하에서 앞으로 계속 북한과 협의해 나가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금강산에 있는 이산가족면회소도 남측의 재산인 만큼 당연히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해 활용하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통일부는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시설의 원상회복 문제는 별개의 사안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이전에 북한의 남측 재산 몰수 철회조치가 없더라도 상봉 행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당연히 북한의 부당한 조치는 철회되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그것과 연관 지어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생각하실 필요는 없으시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한편 대한적십자사와 현대아산, 그리고 전기 업체 관계자 등 55명으로 구성된 남측 시설점검단이 28일 금강산 지역에 들어갔습니다.

다음 달 25일부터 30일까지 열릴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앞두고 관련 시설을 점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들은 29일에도 방북해 점검을 계속합니다.

점검단의 한 관계자는 “시설에 별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차질이 없도록 자세히 점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사용되는 면회소나 금강산호텔은 2008년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 씨 피격 사건으로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면서 북한이 불법으로 동결, 몰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