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전단을 둘러싼 남북 긴장 고조

0:00 / 0:00

앵커 : 오는 26일은 천안함 피격사건 5주기가 되는 날인데요. 천안함 5주기를 앞두고 한국 내 민간단체들이 대북전단을 살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한국 정부는 아직 이렇다 할 대응에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내 탈북자단체와 보수단체들이 천안함 폭침사건 5주기인 26일을 전후로 북한에 전단을 살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근 북한은 남한에서 전단을 살포하면 보복 타격하겠다고 위협한 상황이어서 자칫 무력충돌이 우려됩니다.

대북전단 살포를 주도해 온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는 16일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위협과 협박이 계속되고 있지만, 진실을 알리는 대북전단 살포는 예정대로 진행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남한 정부의 대북전단 살포 자제 요청은 아직 받지 않았다”며 “정부가 공문으로 자제 요청을 하더라도 전단 살포를 강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 이번에는 대북전단 50만 장과 함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다룬 영화 '인터뷰'가 담긴 USB와 알판을 5천 개씩 날려 보낼 생각입니다.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계획과 관련해 남한 정부는 아직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민간단체의 활동을 막을 근거가 없다는 기본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지만, 대응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 : 법적 근거 없이 강제적으로 규율할 수는 없는 사안임을 말씀을 드리고, 다만 표현의 자유를 위해서 그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주거나 또는 공공질서를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명백한 한계도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대북전단 살포가 해당 지역 주민들의 신변 안전에 명백한 위험이 될 경우에 필요한 조치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한미연합훈련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북전단을 뿌리는 것은 선전포고라며 무력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북한군이 지난해 10월 대북전단에 총을 쏜 사실을 거론하며 대포나 미사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