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전단 살포 앞두고 긴장감 고조

0:00 / 0:00

앵커 : 남한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가 25일 오후 1시로 예정된 가운데 살포 예정장소인 경기도 파주 임진각 일대에는 벌써부터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민간단체의 활동이기 때문에 무조건 막을 수는 없지만, 전단 살포를 둘러싸고 인근 주민들과 충돌이 일어나면 전단살포를 막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전단보내기국민연합 등 남한의 일부 보수단체는 25일 오후 1시 경기도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5만여 장을 대형 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띄워 보낼 계획입니다.

북한은 대북전단 살포가 강행되면 남북관계가 회복 불능의 파국에 처할 것이라고 위협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북전단 살포가 중단돼야 2차 고위급 접촉에 응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조선중앙 TV: 군사적 충돌을 불러오는 도발 행위를 막기 위한 책임적인 조치를 취하게 된다면 일정에 올라 있는 2차 북남고위급접촉을 개최하지 못할 리유가 없다.

이에 대해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2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대북전단을 보내는 것은 헌법이 보장한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것”이라며 “정부가 대북전단에 대한 기본 원칙과 입장을 바꾸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 장관은 다만 “국민의 신체나 재산에 피해를 보는 상황이 오면 그런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경찰도 민간단체의 활동이기 때문에 무조건 막을 수는 없지만, 민간단체와 지역 주민간의 충돌이 일어나면 전단살포를 막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25일 오전 임진각 일대에 경찰 병력 300명 정도가 배치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은 당일 오전 임진각에 나가 살포를 못하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일부 주민들은 23일부터 천막을 치고 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48시간 철야농성에 들어갔습니다.

지역 주민 : 저희가 반대하는데도 대북전단을 살포하겠다고 한다면 저희 상인들을 비롯해 모두가 이를 못하게 막을 것입니다.

한편, 25일 파주시 임진각과 민통선 일원에서 열릴 예정이던 ‘파주 평화통일염원 걷기대회’가 같은 날 예정된 대북전단 살포로 전격 취소됐습니다.

파주교육지원청은 지난 23일 긴급회의를 열고 대북전단 살포로 인한 안전문제로 취소를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