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건설 중 경수로 안전성 우려”

0:00 / 0:00

북한 핵시설의 안전성 문제는 기존 핵시설보다 새로 건설 중인 경수로에서 야기될 가능성이 크다고 과거 북한의 핵시설 사찰을 주도했던 올리 하이노넨(Olli Heinonen) 국제원자력기구 (IAEA) 전 사무차장이 밝혔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1994년과 2007년 IAEA, 즉 국제원자력기구의 북한 핵사찰을 주도했던 하이노넨 전 IAEA 사무차장은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핵시설로 비롯되는 방사능 누출 등 안전상의 우려는 북한이 보유한 기존의 핵시설보다는 현재 건설 중인 경수로(LWR)에서 야기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Heinonen:

북한이 고유한 디자인으로 영변에 만들고 있는 경수로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1992년 이후 20여 차례 북한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북한이 꼭 경수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관련국들과 이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경험이 없는 북한이 직접 경수로를 건설하기 보다는 기술력이 우수한 한국이나 미국, 일본 등 주변국들이 대신 경수로를 북한에 제공해 주는 편이 더 안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Heinonen:

북한은 경수로를 만들어 본 경험이 없습니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이 원형 경수로를 제작할 모든 기술(know-how)을 얻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북한이 직접 경수로를 새로 개발하는 것보다는 안전성이 이미 입증된 경수로를 구입하는 편이 바람직합니다.

하이노넨 전 사무차장은 북한 영변 지역의 5메가와트 원자로와 핵연료 재처리 시설은 이미 가동이 중단됐고 남아있는 ‘사용 후 핵연료’도 모두 재처리된 것으로 알려져 추출된 플루토늄만 어딘가 지하시설에 보관돼 있을 것이라면서 북한의 기존 핵시설과 핵물질로 인해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과 같은 방사능 누출 사고를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객원연구원으로 활동 중인 한국의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도 지난 2월 핵 전문가인 스탠퍼드대 지그프리드 헤커 교수 등의 설명을 인용해 북한이 건설 중인 경수로로 인해 방사능 누출 위험이 있으며 이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주변국에 큰 위협이 된다고 우려한 바 있습니다.

유명환:

The on-going construction of LWR on its own in Yongbyon area will also pose a serious safety concern to all neighboring countries.

한국의 엄종식 통일부 차관도 5일 부산에서 한 강연을 통해 “북한이 핵개발을 하는 데 그 시설이 과연 안전한 지에 대한 문제가 있다”면서 “지금 일본의 대지진과 방사능 누출로 여러 문제가 있는데 오히려 북한 핵시설이 위험하다면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에 정통한 외교 소식통은 최근 아마노 유키야 IAEA 사무총장도 북한 핵시설에 대한 사찰단 복귀를 촉구한 바 있다면서 특히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누출 사고는 북한 핵시설의 안전성과 관련해 경종(wake-up call)을 울리는 계기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