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영국의 한인단체들과 탈북자 단체들이 연합하여 북핵 반대와 정전협정 백지화 규탄 시위를 가졌습니다.
자세한 소식 런던서 김동국 기자가 전합니다.
북한이 인민 무력부 정찰총국 성명을 통해 ‘정전협정 백지화’를 선언하고 그 시작 일자를 한미연합군이 ‘키졸브’ 훈련을 실시하는 3월 11일자로 밝힌 데 대해, 영국 한인단체와 탈북자 단체들이11일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 앞에서 규탄 시위를 벌였습니다.
한국 민주평화통일 자문위원회 영국협의회와 런던 재향군인회, 재유럽 조선인 총연합회, 북한민주화 대표 신문 프리엔케이 회원들을 비롯한 30여명의 시위 참가자들은 지금 한반도에서 고조되고 있는 전쟁 분위기는 민족의 머리위에 핵전쟁의 참화를 뒤집어 씌우려는 북한정권의 망발이고 망동이라며 이는 그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주평통 영국협의회 박화출 회장은 북한의 핵실험은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엄중한 행위이면서 더 나가 북한주민들에게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여러 가지 재해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고통스러운 민족비극의 서막이라고 단죄했습니다.
박화출 회장: 핵실험을 통해서 야기될 수 있는 방사능 노출 등 재난으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받고 고통을 당하게 될 북한주민들의 안전이 심히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이날 캠페인 진행을 맡은 런던 재향군인회 김정록 지회장은 북한의 북핵반대와 정전협정백지화 망언을 규탄하기 위해 시위를 진행하고 있지만 또 3월은 천안함 피격사건이 일어난지 3주기 되는 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지회장은 북한당국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핵과 미사일 개발을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해 온 이유 중의 하나가 전쟁을 통해 적화통일을 이루려는 야욕을 버리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그 역사의 증거들이 바로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을 비롯한 휴전선들에서의 도발행위들이라고 밝혔습니다.
탈북자들을 대표해 시위에 참가한 재유럽 조선인 총연합회 회원들은 북한독재정권이 3번에 걸쳐 핵실험을 감행한 지하핵실험장이 위치한 지역이 함경북도 길주군 만탑산이라며 이곳 주민들은 만탑산에서 흘려내려 오는 물을 급수로 사용하고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이들은 계속해 외부세계와 완전히 단절된 북한사회 특성상 방사능 오염에 의한 길주군 주민들의 피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설령 길주군 주민들 속에서 방사능 오염에 의해 피해가 발생했다 할지라도 북한당국이 은폐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시위 참가자들은 한결같이 자주권을 핑계로 핵개발을 정당화 하는 것은 북한정권의 상투적인 수법이라며 북한은 하루빨리 핵이 자주권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규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