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당 대회를 통해 제안한 남북군사회담에 한국 측이 더 관심을 보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정보 관리 출신인 로버트 칼린 스탠퍼드대 연구원은 10일 북한이 최근 당 대회에서 남북군사회담을 제안했지만 한국이 북한의 진정성을 의심하며 곧바로 이를 거부한 것은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칼린 연구원은 이날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당 대회가 끝난 5월부터 한미합동군사훈련이 재개되는 8월 사이가 대화를 통해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을 낮출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지적했습니다.
칼린 연구원: 만일 지금부터 8월 사이 기회를 놓치면 우리는 올해 봄과 비슷한 종류의 한반도 긴장 상황을 맞이할 것입니다. 이 기간이 한반도 상황을 안정시킬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날 함께 행사에 참석한 조엘 위트 전 국무부 북한담당관도 대북 대화의 필요성을 지적했습니다.
지금은 대화에 나설 때가 아니라 대북 제재가 효과를 낼지 지켜봐야 할 때라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수년 전에도 되풀이 됐던 주장이고, 기다리는 동안 북한은 계속 핵미사일 능력을 고도화시키는 것이 문제라는 설명입니다.
한편 위트 전 담당관은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전제로 하는 북한의 핵실험 중단 제안과 관련해 한미 양국이 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북한은 핵미사일 능력 완성을 위해 추가 핵실험이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같은 도발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