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단 발사 성공이라고 단언 못해”

0:00 / 0:00

앵커 : 북한은 무수단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합니다만, 남한은 성공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합동참모본부는 23일 북한의 하루 전 ‘무수단’ 중거리 미사일 발사를 분석한 결과 “엔진 성능 면에서 기술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측이 22일 발사한 두 발의 무수단 미사일 중 하나가 1천km 이상 솟구치며 400여km를 비행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를 ‘성공’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고 덧붙입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 : 실전 비행능력 이런 것들이 검증이 돼야 된다고 생각하고요. 최소 사거리 이상 또 정상적인 비행궤적 이런 것들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중거리 미사일은 45도 정상각도로 쐈을 때 최소 사거리가 대략 500km입니다. 그러나 북측은 22일 무수단 미사일 시험발사 당시 각도를 높여 발사해 400km만 비행했습니다. 따라서 정상각도 발사시 사거리와 비행궤적 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이 같은 이유로 이번 미사일 발사를 ‘성공’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북측 조선중앙통신은 무수단 미사일이 “예정 비행궤도를 따라 최대 정점 고도 1,413.6km까지 상승비행해 400km 전방의 예정된 목표수역에 정확히 낙탄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기권 재진입 기술도 검증 대상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무수단 미사일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전투부 열견딤 특성과 비행 안정성도 검증됐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남측 군 관계자는 “북한의 발표는 그들의 주장”이라면서 “추가적인 분석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탄도미사일은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발생하는 7천도 이상의 고열을 견뎌야 합니다. 남측 군당국은 북한이 아직은 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무수단 미사일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대 사거리가 3천~4천km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북측은 지난 20일 국방위원회 담화 등을 통해 태평양 괌에 있는 미군 기지를 “정밀 타격권 안에 잡아넣은 지 오래”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