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러시아 방문 이틀째인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긴밀한 대북 공조를 재확인했습니다. 또 러시아의 극동 지역 개발에 적극 참여할 뜻을 밝히고 북한의 동참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러시아에서 만난 한일 정상은 대북 원유공급 중단조치 등 강력한 대북제재를 추진하기로 하고 중국과 러시아의 동참을 최대한 끌어내기로 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또 과거사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실질적인 교류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현재 추진 중인 한중일 정상회담에 문 대통령을 초청했고, 문 대통령 역시 내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아베 총리의 방한을 요청했습니다.
이어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동북아 국가들이 협력해 극동 개발을 성공시키는 것이 북 핵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극동에서 경제협력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면 북한도 이에 참여하는 것이 이익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핵 없이도 평화롭게 번영할 수 있는 길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해 한국과 러시아와의 경제협력 사업을 통해 북한의 참여를 견인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가스와 철도, 조선해운, 에너지 등 9개 분야에서 동시다발적인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북한을 경제협력 사업에 참여시킬 것을 제안했습니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북한을 통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 가스관 건설과 북한 항구 이용 등을 제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북한은 지금은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동방경제포럼 참석을 위해 러시아를 방문 중인 김영재 북한 대외경제상은 기자들과 만나 남북러 경제협력 사업에 반대하지 않지만 지금은 이행할 상황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1박 2일간의 일정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문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 참석을 끝으로 러시아 순방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방러 첫날인 6일에는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 핵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어 몽골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는 한미일과 중국 러시아, 몽골 등 6개 나라가 참여하는 다자 협의체인 '동북아평화협력체제' 구상을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은 취임 이후 이번이 처음으로, 푸틴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이뤄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