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비핵화·남북관계 개선, 선후 양자택일 아냐”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취임 후 첫 '2017 외교부·통일부 핵심정책 토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취임 후 첫 '2017 외교부·통일부 핵심정책 토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통일외교 정책 업무보고를 받았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주도적인 노력을 당부하면서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 노력이 선순환 구도 속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열린 업무보고 모두발언에서 한국이 당면한 가장 큰 도전으로 북 핵 위협을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로서 한국이 한반도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 대통령께서는 한반도 문제의 직접 이해당사자로서 한반도 평화는 우리가 지킨다는 주인의식을 갖고 주도적으로 임해줄 것을 당부하셨습니다. 북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확고히 견지하는 가운데 한반도에 두 번 다시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북 억제력 강화와 예방외교에 만전을 기해나갈 것입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한반도 평화 정착은 한국의 최우선 과제로, 철저한 주인 의식과 국익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이를 위해 확고한 한미 동맹과 함께 중국과 일본, 러시아와의 협력 외교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모든 영역에서 긴밀한 한미 공조를 통해 북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도모하겠다고 보고했습니다.

또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전기 마련을 추진하겠다며 중국과 러시아의 건설적 역할을 견인하기 위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평화체제 청사진 가동을 위한 우호적 환경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업무보고에서는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인 ‘베를린 구상’ 추진을 위한 남북대화 재개 방안도 보고됐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은 선후 또는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며 상호보완적으로 선순환 구도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엄동설한에도 봄은 반드시 오는 법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차분하고 내실 있게 대북정책을 준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통일부는 업무보고에서 베를린 구상에 따라 남북 간 대화 창구를 복원하고 남북 교류를 활성화해 남북관계를 재정립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남북 군사당국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적십자회담 등 남북간 현안 해결을 위한 대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남북 민간교류도 진행한다는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한반도 평화방안을 주도적으로 제기해 비핵화 대화여건을 조성하겠다며 남북관계 진전에 따라 ‘한반도 신경제지도’ 추진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