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대의 한 연구기관이 27일 공개한 통일의식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10명 중 6명이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북한의 도발에 대한 위협인식은 다소 높아진 반면 핵무기에 대한 우려는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한국 국민은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27일 공개한 ‘2017 통일의식 조사’ 결과에서 응답자의 59.3%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통일평화연구원은 “과거 4년을 비교했을 때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온 것”이라며 “이는 새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습니다.
대북 사안별 시급성에 대해선 비핵화, 평화협정, 정기회담, 남북경협, 남북교류, 인도적 대북지원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북핵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 남북 교류협력을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에 찬성한 응답은 34.1%에 불과했으며 지난해 40.5%보다 6.4%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또 개성공업지구 사업 재개에 대한 찬반 질문엔 응답자 중 40.9%가 찬성한다고 답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의 47.0%보다 감소한 것입니다. 금강산관광 재개에 찬성하는 응답도 44.6%로 지난해 50.4%보다 감소했습니다.
서유석 북한연구소 연구위원: 북한 김정은 정권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국민 여론은 아직까지 남북경협을 재개하는 것이 시기상조라고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북한의 무력 도발 가능성에 대한 위협인식은 지난해 66.1%보다 4.5% 포인트 상승한 70.6%로 조사됐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보유가 위협적이라고 답한 응답은 2015년 84%, 2016년 79.5%, 2017년 70.6%로 해마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관련해 문인철 성균관대 사회과학연구원 박사는 “한국 사람들이 북한의 핵무기를 체제 생존을 위한 협상용이라고 판단하는 것 같다”며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새 정부의 높은 대화 의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번 조사가 북한의 6차 핵실험이 있기 전인 지난 7월에 진행되어 최근 한반도 긴장 상황이 응답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번 통일의식 조사는 통일평화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7월 3일부터 7월 28일까지 전국의 만 19~74세 성인 남녀 1천20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