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다섯 가지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지키는 것은 대통령의 책무라며 북한의 핵 포기를 거듭 압박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1일 국회 시정 연설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다섯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여야의 초당적인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우선 ‘무력 충돌 없는 한반도 평화정착’이라는 원칙을 천명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은 안 된다며 한국 정부의 사전 동의 없는 군사적 행동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하며 북한의 핵 포기를 압박했습니다.
한국 역시 핵을 보유하지 않겠다고 밝힘으로써 한국 내 일각에서 제기돼온 독자적 핵무장이나 전술핵 재반입 주장에 다시 한번 선을 그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는 용납할 수도 인정할 수도 없습니다. 우리도 핵을 개발하거나 보유하지 않을 것입니다.
한반도 문제의 직접적인 당사자로서 남북관계를 주도해나가겠다는 의지도 거듭 표명했습니다.
한국의 의사와 무관하게 결정됐던 식민과 분단과 같은 과거 불행한 역사를 두 번 다시 되풀이해선 안 된다는 겁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해 압도적인 힘의 우위를 확보하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국제사회와도 적극 공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중 양국이 관계 회복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이제 시작이라며 다음 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지나면 큰 흐름이 일단락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