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 핵실험 땐 고립만 심화”

0:00 / 0:00

앵커: 북한이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반발해 핵실험을 강행할 수 있다고 위협한 데 대해 미국 정부는 크게 우려하면서 핵실험은 북한의 고립만 심화시킬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방부의 존 커비 대변인은 20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의 핵실험 위협을 알고 있다면서 만일 북한이 이를 강행할 경우 국제사회에서 더 고립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커비 대변인: 북한은 위협과 도발로 아무것도 얻을 수 없고 국제사회에서의 고립만 더 심화될 것입니다. 이는 또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훼손할 것입니다.

미국 국무부의 제프 래스키 공보과장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반발하면서 나온 북한의 핵실험 위협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래스키 공보과장: (북한이) 국제사회의 타당한 관심에 핵실험 재개 위협으로 대응하는 것은 큰 우려를 자아냅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2005년 6자회담 9.19공동성명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절차를 밟아야 하며,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할 책임은 여전히 북한에 있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래스키 공보과장은 또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이 정치적 도발이며 그 저의가 의심스럽다는 북한 측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유엔이 이번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북한 내 인권 상황에 대한 진정한 우려 외에 어떤 다른 동기도 없다는 것이 그의 설명입니다.

한편 래스키 공보과장은 러시아 측이 이번 결의안의 ‘역효과’를 우려한 데 대한 반응을 묻는 질문에 즉답을 피한 채 북한 인권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