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한반도 유엔군사령부 해체” 강변

앵커: 2010년 천안함 폭침 사태 이후 3년 만에 북한 당국이 유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반도에 주둔중인 유엔군사령부의 해체를 주장했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신선호 유엔주재 북한 대사는 21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반도에 유엔군사령부가 존재하는 한 남북한 간 전쟁의 위협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한반도 상황'이라는 주제로 유엔본부에 기자회견을 자청한 신 대사는 "유엔군사령부가 조직 초기부터 유엔과는 상관없이 미국의 독자적 주도 하에 운영돼 왔으며, 미국은 '키-리졸브'나 '독수리' 등 대규모 한-미 합동 군사훈련을 통해 한반도 긴장을 지속시키고 있다"면서 유엔군사령부 해체를 주장했습니다.

신선호 유엔주재 북한 대사: 유엔군사령부가 존재하는 한 한반도는 전쟁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이에 대한 우리측 요구를 미국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한반도 정세는 더 나빠질 것이며 전쟁 위협도 결코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As long as the UN Command is in existence, the Korean peninsula will never be free from the root cause of another war. If the United States continues to go defiant of our proposal, the situation will continue to be intensified and removal of war danger will be impossible.)

신 대사는 "한반도와 주변국에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은 북한이 아니라 미국"이라며 자국의 핵보유와 군사적 방어 체계를 정당화했습니다.

국제사회가 요청하고 있는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 신 대사는 "비핵화는 자국이 지향하는 최종 목표가 아니며, 자국만 실천해야 할 문제도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발표 후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신 대사는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 대신 북한의 입장을 전하는 식의 답변으로 일관했습니다.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미국의 대북 경제 제재가 중단돼야 하며 유엔 회원국들이 미국을 따라 제재를 시행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 전반을 묻는 질문에서 그는 "지난달 라오스에서 강제 송환한 탈북 청소년 문제를 지적하려는 의도인 것 같은데, 북한은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한 것이다"고 일축했습니다.

또 유엔의 대북 제재결의를 적극 지지하는 등 중국의 최근 달라진 모습에 대한 질문에 대해 신 대사는 "중국은 북한의 우방국으로 좋은 관계 속에 있다"며 "특별히 핵 문제와 관련해, 비핵화는 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문제이며 나아가 미국의 군사적 위협 중단까지 포함한다"고 답했습니다.

유엔의 한 소식통은 이날 기자회견에 대해 "최근 남-북 정상회담이 결렬됐고 이후 북한이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 개최를 제안한 시점에서 갑자기 유엔군사령부 해체 문제를 거론하는 것이 엉뚱하고 별로 주목할 만한 점이 없는 상투적 발언에 불과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남북 정상회담과 마찬가지로 미-북 간 회담도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 없이는 개최되기 어렵다는 점을 한국과 미국이 이미 분명히 한 상태이기 때문에, 미-북 회담 개최 여부는 두고 볼 문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