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재무부는 북한에 대한 제재 강화와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국제협의를 존중한다고 강조하며 독자 제재 움직임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재무부 대변인은 미국 정부의 대북 제재 강화와 관련해 예단할 단계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재무부는 북한의 5차 핵실험 감행 이후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논의되고 있다면서 미국 정부의 독자 대북제재 강화와 관련해 밝힐 내용이 없다고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한국의 윤병세 외교장관은 지난주 서울에서 미국의 주 유엔대사와 만난 뒤 한국과 미국 정부간 북한에 대한 독자 제재 강화를 협의하고 있고 이에 추가해서 유럽연합(EU)과 일본도 독자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올해 상반기 대북 금융 제재 대상 확대와 해운 통제 강화 그리고 해외 북한 식당 등 영리 시설의 이용 자제 계도 등을 골자로 하는 대북 독자 제재안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정부도 지난달 26일 북한 핵개발 관련 물자를 제공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중국의 훙샹기업과 회사 대표·대주주 등 4명을 재무부의 거래금지 명단에 포함하고 법무부가 수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불법행위에 관련된 자금을 몰수한다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한편, 재무부 대변인은 북한 핵개발 관련 물자를 제공한 혐의로 중국 기업을 제재 조치한 이후 북한과의 거래 혐의 의혹을 받고 있는 다른 중국 기업이나 개인에 대한 추가 조사나 제재 가능성과 관련한 질문에도 답변할 내용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