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등 친북국가들도 유엔 대북제재 적극 이행

0:00 / 0:00

앵커: 북한과 친하거나 교류가 많았던 아프리카의 우간다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제재 대상인 북한 기업 철수를 명령하고 관계자를 추방하는 등 유엔 대북제재결의 이행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우간다 정부가 무기 수출을 담당하던 자국내 북한 기업과 거래를 중단하고 관계자들을 추방했다고 우간다 데일리가 지난 18일 보도했습니다.

우간다 외교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채택한 대북제재결의를 이행하기 위해 지난달 15일 자로 수도 캄팔라에 있는 북한 대사관에 추방과 관련한 공한을 발송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습니다.

우간다 정부로부터 추방된 북한 기업은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입니다.

북한 무기를 세계 여러나라에 판매하는 회사로 알려졌으며 특히 탄도미사일과 장비, 재래식 무기 등을 수출하는 창구로 지목되면서 2009년 안보리 제재 대상에 올랐습니다.

기업 퇴출과 함께 우간다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책임자인 북한인 유경진과 정국철도 추방된 것으로 알려집니다.

우간다 외무부의 오켈로 오르옘 차관은 현지 언론에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기 위한 유엔 제재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며 추방 사실을 밝혔다고 우간다 데일리는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AP통신은 그동안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 왔던 우간다의 대북 정책 기조가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우간다 정부는 지난달 우간다 군(UPDF)과 군사 교류 중인 북한 군사교관단과의 계약을 연장하거나 새로 체결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에 의하면 한국 정보당국이 2015년 우간다를 북한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5대 친북국가 중 하나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우간다 뿐만 아니라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던 국가들이 속속 북한인들을 추방하고 있습니다.

미얀마도 최근 북한 외교관을 추방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20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미얀마의 제재결의 이행보고서를 보면 안보리의 제재 대상인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와 관련된 북한인을 추방했습니다.

미얀마 정부는 양곤 주재 북한 대사관에서 2등 서기관으로 일하던 김철남이 제재 대상인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소속으로 파악한 후 지난 4월 26일 자로 북한 대사관에 추방을 통보했고, 이에 따라 김 씨와 그 가족은 지난 6월 9일 북한으로 떠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한때 공산주의 체제였던 베트남 즉 윁남도 제재 대상자인 북한인을 추방했습니다.

이혁 주베트남 한국대사는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한국 국회의 국정감사에서 미국의 독자 대북 제재 대상에 오른 김영수 북한 원양해운관리회사 베트남 대표가 지난 7월 출국했다고 답했습니다.

이 대사는 또 베트남 정부가 호찌민에 머물면서 인터넷 사이버 공격을 한다는 의혹을 받아 온 북한의 정보기술 인력 21명의 비자 연장을 거부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사는 지난 2월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한 김정남 살해사건에 베트남 여성이 북한인 용의자들에 의해 이용당한 데 대해 반감을 갖고 이들 북한 정보통신 인력의 비자 연장을 허용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