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6일 연 대북정책과 관련한 설명회에 참석했던 의원들은 북한 문제의 심각성을 행정부와 의회가 함께 공유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일부 의원들은 구체성이 부족했다며 설명 내용에 특별한 게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관련 각료들은 26일 상∙하원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대북정책 설명회에서 북한의 위협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행정부가 경제, 외교, 그리고 군사적 방안까지 모든 대북 압박수단을 마련 중이라고 의회에 설명했습니다.
의원들은 백악관과 의회에서 잇따라 열린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직후 행정부가 북한 핵문제의 시급성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고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코리 가드너(공화∙콜로라도) 상원 외교위 동아태소위원장은 기자들에게 북한 핵문제를 외면하던 시기는 끝났다며 북한에 대한 압박을 더 강화해야 할 때라고 밝혔습니다.
코리 가드너: 이제까지 북한 핵문제를 외면해왔습니다. 지역 국가들과 함께 북한에 비핵화를 압박해야 할 때입니다.
그는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테드 크루즈(공화∙텍사스) 상원의원은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중국이 북한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듯하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는 한반도 상황이 매우 위험한 상태라며 군사적 충돌의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테드 크루즈: 매우 매우 위험한 상황입니다. 군사적 충돌이 생기면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겁니다.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은 27일 CBS 방송에 나와 전날 설명회에서 북한에 대한 군사적 대응이 임박했다는 어떤 언급도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CBS: 의원님, 설명회에서 대북 군사적 조치(military action)가 임박했다는 언급이 있었나요?
존 매케인: 아니요, 하지만 군사적 대응이 배제된 건 아니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그는 다만 대북 군사적 대응이 최후의 선택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엘리엇 엥겔(민주∙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도 설명회에서 대북 선제공격에 관한 언급은 없었다고 확인했습니다.
한편 일부 의원들은 설명회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대북전략이 제시되지 않았다며 다소 실망스럽다는 반응도 나타냈습니다.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를 강화하고 중국을 압박하는 한편 한편으로 북한과 대화의 문도 열어놓겠다는 입장이지만 여전히 모호해 보였다고 의원들은 지적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