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내 ‘미∙북 간 우발적 핵전쟁 경고’ 이어져

0:00 / 0:00

앵커: 미국과 북한 간 긴장이 이어지면서 우발적 핵전쟁 가능성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미국 의회 내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북 선제 핵공격에 나설 경우 의회의 사전 동의를 받도록 규정한 법안의 처리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에드워드 마키(민주∙메사추세츠) 상원의원과, 테드 리우(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적인 대북 선제 핵공격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했습니다.

두 의원은 8일 밤 트위터(인터넷 단문 사회연결망)를 통해 정당화할 수 없는 핵전쟁 시작 권한을 누구라도 홀로 가져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마키 상원의원과 리우 하원의원은 올 해 초 대통령이 선제 핵 타격에 앞서 의회의 사전 동의를 받도록 규정한 '핵무기 선제사용 제한법(Restrict First Use of Nuclear Weapons Act)'을 상원과 하원에서 각각 대표 발의했습니다.

각각 상∙하원 외교위원회에 계류중인 법안에는 9명(상원), 57명(하원)의 의원들이 공동 발의에 참여했습니다.

브라이언 샤츠(민주∙하와이) 상원의원도 이날 트위터에 한반도에서 군사행동은 재앙적이라며 오판을 막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호소했습니다.

샤츠 의원은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언행이 미국을 3차 세계대전으로 이끌 위험이 있다는 밥 코커(공화∙테네시) 상원 외교위원장의 경고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생하면 아시아와의 무역이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중단되고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한국과 일본에 약 20만 명의 미국인이 살고 있다며 이들 역시 한반도에서 발생할 전쟁의 희생자가 될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앞서 바바라 리(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도 지난 달 말 하원 본회의 발언을 통해 한반도 전쟁 발발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바바라 리: 김정은을 자극하는 건 결코 우리를 더 안전하게 만들지 않습니다. 이미 일촉즉발인 현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입니다.

리 의원은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는 데 군사적 해법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