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 후속 조치로 추진했던 남북 군사회담이 북한의 무반응으로 결국 불발됐습니다. 한국 정부는 정전협정일인 오는 27일까지 대화 제의는 유효하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 군사당국회담을 열자는 한국 정부의 제의에 대해 북한은 회담 개최예정일인 21일까지도 공식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 국방부는 21일 입장 발표를 통해 한국 정부의 대화 제의에 북한이 응하지 않음에 따라 회담 개최는 사실상 어려워졌다고 밝혔습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적대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남북 군사당국회담을 7월 21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하기로 제안한 바 있습니다. 북측이 조속히 우리의 제안에 호응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합니다.
그러면서 남북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군사 분야에서 대화 통로를 복원하는 것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그러나 회담 제의에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은 채 지난 20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관계 개선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자 기만행위'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군사당국회담과 함께 제의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에 대해서도 북한은 아직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일단 정전협정일인 오는 27일까지 대화 제의는 유효하다며 북한의 반응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통일부는 북한의 공식 반응이 없는 상태에서 추가 제안을 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기자 설명회에서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차분하게 한 걸음씩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북한이 조속히 호응해 오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