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북한 핵문제와 한반도 안보위기 해법과 관련, "한반도에서 유엔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뉴욕 유엔 본부에서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도발과 제재가 높아지는 악순환을 멈출 근본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야말로 오늘날 유엔에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문재인: 특별히 나는 안보리 이사국을 비롯한 유엔의 지도자들에게 기대하고 요청합니다. 북핵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엔헌장이 말하고 있는 안보 공동체의 기본정신이 한반도와 동북아에서도 구현되어야 합니다.
또한 문 대통령은 "동북아 안보의 기본 축과 다자주의가 지혜롭게 결합해야 한다"면서 "다자주의 대화를 통해 세계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유엔정신이 가장 절박하게 요청되는 곳이 한반도"라고 지적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평화의 실현은 유엔의 출발이고, 과정이며, 목표"라고 덧붙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국제사회가 일치단결해 제재와 압박을 가해야 한다며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할 때까지 강도 높고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모든 나라들이 안보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고, 북한이 추가 도발하면 상응하는 새로운 조치를 모색해야 합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우리의 모든 노력은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하려는 것인 만큼 지나치게 긴장을 격화시키거나 우발적인 군사 충돌로 평화가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북핵문제를 둘러싼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거듭 국제사회의 대화 요구에 응하고 평화의 길로 들어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해 IOC와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면서 "민주주의 위기 앞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든 촛불처럼 평화의 위기 앞에서 평창이 평화의 빛을 밝히는 또 하나의 촛불이 되리라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뉴욕 유엔 본부에서 RFA 이경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