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측 국가정보원과 국방부가 지난 12일 발사된 북한의 탄도미사일 분석 내용을 국회에 보고했습니다. 국정원과 국방부는 "미사일과 관련한 북한의 기술이 발전했다"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최근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평시 각도대로 날아갔다면 사거리는 2000킬로미터 이상"이라고 남측 국가정보원이 14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밝혔습니다.
이날 국정원으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은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이철우 자유한국당 간사는 "정보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탑재 용량도 더 커졌다고 분석했다"면서 "기술이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미국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도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진화한 미사일"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은) 북극성 1형으로부터 진화한 지상용 미사일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북한은 10여 종의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액체 연료를 사용합니다. 기술적으로 구식이기 때문에 북한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발전된 형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자 일각에서는 "남한의 미사일 방어체계가 무력화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고체연료와 이동식 발사대를 활용한 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그 시점과 장소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킬체인(선제타격) 계획에 북한 미사일의 연료 주입 시간은 이미 고려돼 있다"면서 "한반도 작전권 안에 들어오는 미사일 방어는 그 종류와 관계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조기에 마무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민구 장관은 "북한 미사일 공격을 방어하는데 사드가 대단히 유용하다"면서 "사드 배치 문제는 조기에 매듭 짓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철우 간사도 "사드는 마하 14 속도의 탄도미사일도 방어할 수 있다"면서 "기존 방어체계인 패트리어트로 이론상 방어가 가능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