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류 거부하는 북한의 의도는?

0:00 / 0:00

앵커: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주장하면서도 남측 대북 민간단체들의 방북을 거부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의 전형적인 기만전술이라는 평가가 많은데요. "핵과 미사일을 완성하기 위한 시간 끌기"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남측 대북지원 단체와 종교 단체들의 방북을 최근 거부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전제 조건으로는 탈북 여종업원 12명과 탈북자 김현희 씨의 송환을 내걸었습니다. 6.15 공동선언 기념행사를 남북이 공동으로 개최한다는 계획도 무산된 상황입니다.

"북남관계를 개선하는 것은 미룰 수 없는 절박한 문제"라고 북한은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남북 교류에는 적극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이중적인 태도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한의 전형적인 기만전술"이라고 지적합니다.

조영기 고려대 교수: 북한의 전형적인 외교방식은 상대방 길들이기입니다. 벼랑 끝 전술, 의제 바꾸기, 상대방에 대한 공격과 협박이 바로 그들의 방식입니다. 우리가 (먼저) 제의한 것을 북한이 받으면 주도권이나 명분을 상실한 것으로 여기니까 안 받을 겁니다.

남북 교류를 북한이 일부러 회피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핵과 미사일을 완성하기 위한 시간 끌기 전략이라는 겁니다.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은 "북한은 핵과 미사일 실험을 계속해야 하는 입장"이라면서 "남북관계가 개선된다면 이런 행위를 자유롭게 못 할뿐더러 남한 눈치도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김정은 위원장은 남북교류로 인해 북한 사회의 기강이 문란해지는 점도 고려하고 있을 것이라고 김 연구위원은 분석했습니다.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 김정일 정권 후반 "남북 관계(교류) 때문에 간부들이 해이해지고 기강이 흐트러졌다"는 평가가 있었다고 합니다.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돈 몇 푼은 생기겠지만 김정은에게는 반갑지 않을 겁니다.

이어 김 연구위원은 "김정은이 집권 후 5년 동안 고위 간부들을 숙청한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남북교류로 인한 부작용을 해결하려는 의도도 있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북한 민족화해협의회 대변인은 8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남측이 국제 대북제재에 동참하지 말아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이 대변인은 "대결정책을 되풀이하면 박근혜 역적무리들의 전철을 밟을 수밖에 없다"면서 "외세의 반공화국 압살 책동에 동조할 것이 아니라 우리민족끼리 정신으로 돌아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