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새롭게 내놓은 독자 대북제재에 대해 한국 정부가 환영의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유엔 무대에서 대북제재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과 거래한 민간 기관이나 개인 등도 제재를 받도록 하는 미국의 새로운 행정 명령에 대해 한국 정부가 적극 공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외교부 당국자는 22일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이번 조치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한·미 양국과 국제 사회의 공동 노력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현지시간으로 지난 21일 열린 한·미·일 3자 정상회담에서 환영의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단호한 조치를 내려주신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시 감사드리고 한국도 그에 대해서 최대한 공조하겠다는 약속 말씀을 드립니다.
유엔 무대에서도 대북제재와 관련한 논의가 벌어졌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강 장관은 현지시간으로 21일 뉴욕에서 열린 '대량살상무기 비확산에 관한 안보리 장관급 회의'에 참석해 "대북제재 결의가 완전히 이행되면 북한에 중대한 타격을 주고 정권의 진로 수정을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강 장관은 "북한의 계속된 도발은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정권을 몰락하게 만들 경제적 압박을 강화시킬 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강 장관은 "제재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라고도 말했습니다. "제재는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겁니다.
회의 직후 개최된 한·미 외교장관 회동에서도 북한 문제가 다뤄졌습니다. 강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 문제를 한·미 양국의 긴밀한 공조체제를 통해 풀어가자는 의견을 나눴습니다. 11월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방문과 관련한 조율도 이뤄졌습니다.
강경화 장관은 한·미 정상 회담과 외교장관 회동을 통해 이뤄진 협의를 바탕으로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북한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