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B-1B’의 북 공해상 비행 사전 협의”

0:00 / 0:00

앵커: 지난 주말 미군의 전략 폭격기를 동원한 대북 무력시위는 한·미 당국의 긴밀한 협의 아래 이뤄졌다고 한국정부가 밝혔습니다. 관련 협의 당시 미국에 체류 중이던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도 실시간으로 관련 보고를 받았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장거리 전략 폭격기 'B-1B' 편대의 북한 동해 국제공역 비행은 한국 정부의 동의 아래 이뤄진 것으로 25일 알려졌습니다. 대북 무력시위에 앞서 한·미 당국이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는 겁니다.

한국 국방부의 이진우 공보과장은 이날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B-1B'의 이번 동해상 비행은 한·미 간 충분한 사전 조율이 있었고 긴밀한 공조 아래 이뤄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도 "긴밀한 공조하에 작전이 수행됐다는 것은 (양국이 무력시위에 대해) 동의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유엔 총회 참석차 지난 19일 새벽부터 22일 오전까지 미국 뉴욕에 체류하고 있던 문재인 대통령도 이와 관련된 논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고받았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이번 무력시위를 계기로 한·미 군 당국의 대북 감시 태세도 강화됐습니다.

노재천 합동참모부 공보실장: 이번 미국의 군사적 조치 간에 한·미 양국은 북한군의 동향에 대해 감시를 강화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북한군의 동향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지난 23일 밤부터 24일 새벽까지 미군은 'B-1B' 전략폭격기 2대와 'F-15C' 전투기 5~6대를 동원해 북한 동해의 국제 공역에서 무력시위를 감행한 바 있습니다. 미국의 폭격기와 전투기가 북한 동해 공해상까지 비행한 것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대해 다나 화이트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이 그동안 해온 무모한 행동을 미국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4일 최근 악화한 한반도 안보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북한 도발 이후의 대응 조치만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북한 문제와 관련한) 대응책을 마련해보자는 취지로 열린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한미 국방부도 오는 27~28일 서울에서 통합국방협의체 정례회의를 열어 미국의 대북 확장억제 실행력 제고를 위한 협의를 벌입니다. 이외에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한국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 폐지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