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설리번 국무 부장관 “북 조건없는 협상 유도가 목표”

0:00 / 0:00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한·미·일 3국의 고위 외교 당국자들이 서울에서 연쇄 협의를 벌였습니다.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북한이 전제 조건 없이 협상장에 나오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미·일 3국이 외교차관 협의회와 6자회담 수석대표 회의에 이은 전략 회담 등을 18일 잇따라 개최했습니다. 최근 고조되고 있는 북 핵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이 주요 의제였습니다.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3국 차관 협의회 직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대북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는 미국 정부의 대북기조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외교적 수단을 최우선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설리번 부장관은 이와 함께 대북 압박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의 불법적인 행동과 핵실험을 막겠다는 겁니다.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 우리의 목표는 이런 압력의 노력을 통해서 북한이 전제조건을 달지 않고 협상 테이블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한·미·일 3국은 이날 차관 협의회에서 한반도의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북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 북한을 비핵화 과정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3국은 앞으로 예정된 각종 외교일정과 국제행사 등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2014년 6월 이후 3년 4개월여 만에 한·미 외교 차관 전략대화도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북핵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전략이 주로 논의됐습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설리번 부장관은 '4 NO 원칙'을 기조로 북한 문제를 풀기 위해 외교적 수단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4 NO'란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올해 초 제안한 일종의 '대북 정책 기조'로 북한의 정권 교체와 붕괴를 추구하지 않고 급진적인 한반도 통일을 추진하지 않는다는 점, 비무장지대 북쪽으로 미군을 보내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 원칙입니다.

이날 서울에서는 한·미·일 6자 회담 수석대표 간의 3자 협의회도 열렸습니다. 3국 대표는 현재 북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북핵에 대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한·미·일 3국의 외교차관 협의와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가 같은 날 연쇄적으로 열린 것은 이례적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