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북한과의 대화재개 조건으로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거론했습니다. 또 필요하다면 북한에 특사를 파견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과 미국 정부가 북한과의 대화에 나서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벌이고 있다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31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통일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이같이 말하면서 북한과의 대화재개 조건으로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거론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비핵화 자체에 대한 북한의 의지가 확인되면 비핵화 이전이라도 북한과 대화·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도 현재 북한과 협상을 위한 '탐색'을 하고 있다고 조 장관은 밝혔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협상에 응할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어 협상 단계로 발전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정부도 자체적으로 북한과 의미 있는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한 '대북 특사'의 필요성도 언급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북핵 문제와 남북 대화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대북 특사가 필요한 상황과 여건이 마련된다면 특사 파견을 추진할 용의가 있습니다.
이날 국감에서는 북한 국가보위성이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의 신상 정보를 파악해 이들을 협박·회유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최근 재입북자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만큼 한국 정부가 탈북민의 신상, 거주지, 연락처 등 관련 정보에 대한 보호 조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조명균 장관은 국가보위성이 직접 탈북자들을 협박하고 회유한 사례가 실제 있다고 밝히면서 대단히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조 장관은 이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탈북자 정보관리 체계 자체에 불필요한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여러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