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을 임시 중단하면 핵실험을 임시로 중단할 수 있다"고 미국에 입장을 전달한 것과 관련해 남한의 국방부가 "도둑이 잠시 도둑질을 않을 테니 현관문을 열어두라는 말과 똑같다"고 반박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연일 한미합동 군사연습 중단을 요구하는 가운데 남한 정부가 이에 맞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이 지난 9일 "한미합동 군사연습을 임시 중단하면 핵실험을 임시로 중단할 수 있다"고 미국에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남한의 국방부는 12일 정례회견에서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한미연합연습은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한반도를,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한 훈련, 연습입니다. 이는 마치 이런 것과 같습니다. '도둑이 잠시 도둑질을 하지 않을 테니까 현관문을 열어 달라, 열어둬라'라는 말과 똑같습니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의 핵실험은 유엔 안보리 결의로 금지돼 있는 만큼 북한은 이를 준수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한 "13일부터 동해 상에서 한미연합 해상훈련이 진행된다"며 이를 위해 "미 해군 이지스함이 남한으로 온다"고 전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미 해군 이지스함이 와서 우리 1함대 함정들하고 하는 훈련은 연례적인 연합해상훈련입니다. 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훈련을 다양하게 할 예정입니다.
앞서 미국은 지난 10일 국무부 대변인을 통해 "한미 합동군사연습을 임시 중지할 경우 핵실험을 임시 중지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북한에 대해 "암묵적인 위협"이라고 비난하며 북한의 제안을 거부했습니다.
미국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히자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12일 "북한의 제안은 행동대행동의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고 "미국이 북한의 대화 제의를 수용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한미 양국은 연합훈련인 키 리졸브 및 독수리 연습을 올해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2월 말부터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