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북 미사일 발사 대비 안전 강화

0:00 / 0:00

앵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한국 정부가 국민 안전대책을 논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설 연휴 기간에도 비상근무 체제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과 중국 등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은 '인공위성 발사체'라고 주장하면서 발사 시기를 2월 8일부터 2월 25까지로 한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비상사태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관계부처인 국방부와 외교부, 통일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8일부터 10일까지 설 연휴 기간에도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부서별로 비상근무조를 편성하고 운영하면서 북핵 종합상황실 등을 증원하였습니다.

5일 현재 개성공업지구의 남쪽 체류 인원은 620여 명입니다.

정 대변인은 "기상 상황 등 적절한 조건이 맞춰지면 북한이 언제라도 미사일을 쏠 가능성이 높다"면서 "국민들의 안전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들과 비상 연락 체계를 계속 가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개성공업지구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이냐"는 질문에 정 대변인은 "미리 예단해 말하기는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와 함께 미사일 발사 예고 기간을 앞두고 발사체 낙하 예상 해역에 대한 안전대책도 논의했습니다.

발사체가 낙하할 우려가 있는 전북 군산 서쪽 약 80마일 해상과 제주 서쪽 약 50마일 해상 주변에 경비함정을 배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