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개성공업지구가 조업 중단 엿새째를 맞고 있는데요. 절망감 속에서도 입주 기업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폐쇄를 둘러싸고 남북이 책임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내 개성공단기업협회 사무실에서는 제1차 입주기업 비상대책위원회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날 회의는 특별히 비공개로 이뤄졌습니다. 비대위는 당초 입주기업 124개사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첫 전체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피해 상황을 점검하는 입주 기업들의 입장을 고려해 임원회의로 대체했습니다.
회의 결과 비대위는 순식간에 일터를 잃어버린 개성공업지구 주재원과 관련 근무자들의 생계대책을 위해 일단 고용상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비대위는 또 이날 회의에서 우선 비대위 자체적으로 입주 기업들에 대한 피해 상황을 조사하는 한편, 정부 측에도 '진상 및 피해 조사위원회'를 민관합동으로 구성하도록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정부의 폐쇄조치 강행으로 조업이 중단된 만큼 지원이 아닌 보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정기섭 비대위 공동위원장: 어쨌튼 기업들은 정부의 조치로 조업을 중단했고 그로 인해 엄청난 손실을 보았잖아요. 당연히 정부가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하죠.
그러나 정부는 일단 피해 현황을 조사한 뒤 거기에 맞게 보험금을 지급하고 대출 등을 통해 경제적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와 관련해 남북경협 전문가들은 입주 기업들이 요구하는 수준의 보상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와 비대위 간의 갈등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이에 대해 비대위 관계자는 "16일 열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연설을 들은 후 비대위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