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환경평가 곧 발표”

0:00 / 0:00

앵커: 지난해 개성공업지구 내 북한 근로자 일부가 유독물질 중독 증상을 호소한 것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진행한 '작업환경진단' 결과가 이르면 이번 주 중에 나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개성공업지구 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해성 점검조사를 마쳤습니다. 이번 주중에 점검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지난 1월에 작업장을 조사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고, 그 결과는 2월 말에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는 개성공업지구 진출기업 중 화학물질을 다량으로 취급하는 사업장 33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작업환경 진단을 실시했습니다.

작업환경 진단은 지난해 6월 개성공단 입주기업 중 2개사에서 북측 근로자 중 일부가 벤젠 등의 유독물질 중독 증상을 호소하며 공정 참여를 거부한 데 따른 것입니다.

이에 따라 남측의 산업보건 전문가들이 지난해 현지 사업장에서 쓰는 화학물질 시료를 채취해 유해 여부를 검사했습니다.

사업장별 작업환경은 물론 근로자 개인별 보호구 지급과 착용관리 실태 등도 전수조사 형식으로 진행됐습니다.

그러나 1차 진단에서 채취한 사업장별 시료 분석결과로만 특정한 결과를 내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측은 올해 2차 환경진단을 추가로 실시했습니다.

북측이 애초 환경진단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만큼 불필요한 오해를 만들지 않기 위해 조사를 좀 더 정밀하게 진행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같은 사업장에서도 채취 시료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어 유독물질의 노출 여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려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북측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를 제안했지만, 북측이 이를 거부해 북측 근로자들에 대한 역학 조사는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현재 개성공업지구 업체들이 북한 측에 매달 사회보장비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산업재해로 확인되더라도 별도의 보상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