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고립무원’ 신세 되나

0:00 / 0:00

앵커: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의 임금 문제가 남북관계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남북 당국 간의 갈등 속에서 입주 기업들은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업에서 근로자의 임금 문제는 아주 민감하고 중요한 부분입니다. 기업 운영에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의 월급 인상을 놓고 남북 당국이 첨예하게 대립한 가운데 사업 당사자인 입주 기업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북측 당국은 지난달 24일 북측 근로자의 월 최저임금을 3월부터 70.35달러에서 74달러로 인상한다고 남측에 일방적으로 통보했습니다.

남측 정부는 북측이 남측과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했다며 강한 유감과 함께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의 통일부 실무진과 개성공업지구 입주 대표들은 5일 오후 통일부 회의실에서 만나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통일부 측에서 이강우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장이, 업계에서는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을 비롯한 기업인 11명이 참석했습니다.

양측은 일단 북측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데 뜻을 같이했습니다. 통일부 측은 이 자리에서 기업들이 3월분 임금을 인상하지 않은 채 지급해 달라고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하지만 기업인들은 2013년 개성공업지구 조업중단 사태를 기억하면 북측의 요구를 마냥 무시할 수도 없다며 답답함을 호소했습니다.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 남북 당국이 합의를 하지 못한다면 결국 기업들은 북측이 요구하는 돈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안 주면 어떻게 되겠어요. 현지 남측 법인장들이나 상근자들이 스트레스를 받아서 일을 할 수가 없습니다. 또 이 경우 북측은 태업한다든지 생산성을 낮춘다든지 할 것입니다.

앞서 남측 정부는 임금 문제를 논의할 개성공업지구 공동위원회를 오는 3월 13일 열자고 제안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노동규정 등 쌍방의 관심사항을 협의, 해결하기 위해 개성공단 공동위원회 제6차 회의를 3월 13일 개성공단에서 개최할 것을 다시 한 번 공개적으로 제의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북측은 여전히 남측의 접촉 제안에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개성공업지구의 3월분 임금은 다음달 10일부터 20일 사이에 지급됩니다. 기존대로 월급을 지급할지 아니면 북측의 요구를 수용할지 기업들의 고민은 깊어만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