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 리퍼트대사 피습 왜곡·날조”

0:00 / 0:00

앵커: 한국 정부가 북한이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에 대한 테러 사건을 "남녘 민심의 반영"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비이성적 선동을 관둬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의 피습에 '전쟁광 미국에 가해진 응당한 징벌'이라고 논평한 가운데 한국 정부가 6일 오전 통일부 대변인을 통해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회견에서 "북한은 사건의 본질을 왜곡, 날조하고 이를 두둔하고 있다"고 규탄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이번 사건은 외교사절에 대한 가해행위로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는 것입니다. 북한이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민심의 반영 운운하면서 사건의 본질을 왜곡•날조하고 나아가 이를 두둔하는 것을 강력히 규탄합니다.

임 대변인은 이어 "북한의 이와 같은 태도는 테러에 반대한다는 북한의 대외적 주장이 얼마나 허구인지 스스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북한은 지금이라도 비이성적인 선동을 그만두고 남북관계 발전과 진정한 한반도 평화를 위해 스스로 할 바가 무엇인지 숙고해보기 바랍니다.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종로경찰서는 김기종 이외에 공범 또는 배후세력이 있는지에 대해서 현재 철저하게 조사하고 있습니다.

앞서 한국 정부는 5일 오후 청와대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협의했습니다.

김 씨는 과거에도 극단적인 행동을 했던 인물입니다.

2010년 7월 한일미래포럼 주최로 열린 행사 중 주한 일본대사에게 시멘트 덩어리를 던져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김 씨는 또 2011년 12월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분향소를 설치하려고 시도한 전력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