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측의 통일부는 어제(9일)도 개성공업지구 노동규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성공업지구 남북공동위원회에 호응하지 않는 북측을 비난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의 임금 문제가 남북관계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남측이 9일 통일부 대변인 성명을 냈습니다. 통일부는 대변인 성명에서 개성공업지구 노동규정과 관련해 북측의 일방적인 태도를 질책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북한이 과연 남북이 합의한 대로 개성공단을 발전시킬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러울 뿐입니다.
임 대변인은 또 남북공동위원회를 열어 논의하자는 남측 정부의 제의에 북측이 호응해 나오지 않는 데 대해서도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개성공업지구의 발전적 정상화와 입주 기업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나가겠다" 강조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일방적 조치를 결코 수용할 수 없으며, 개성공단 제도개선 사항은 남북 당국 간 협의를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앞서 남측의 통일부 실무진과 개성공단기업협회 임원진은 지난 5일 통일부 회의실에서 만나 이번 문제와 관련해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이들은 회의에서 북측의 근로자 임금 인상 요구가 원칙에 어긋났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북측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기로 합의했습니다. 당시 개성공단기업협회 임원진은 "유사시 경협보험금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퇴로를 보장해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개성공업지구 한 관계자는 북측의 이번 임금 인상안에 대해 "남북 간의 정치적 갈등이 빚어낸 결과"라며 "개성공업지구를 정치적 협상수단으로 인식하는 북측의 태도가 바뀌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이러한 사태는 계속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2013년 한 차례 가동중단 사태를 맞았던 개성공업지구. 오는 13일 남북공동위를 열어 논의하자는 남측의 제안에 북측이 호응해올지 주목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