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천안함 폭침 5주년을 맞아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했던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23일 "대북전단 살포를 당분간 전면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부에선 남측 정부의 자제 권고를 받아들였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천안함 폭침 사건 5주년을 전후해 남측 민간단체에서 대북전단을 살포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지난 3월 초입니다.
당시 북측은 예상대로 민감하게 반응했고, 선전 매체 등을 통해서 대북전단이 살포될 경우 군사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해당 단체는 북측의 협박과 위협에 굴하지 않겠다며 예정대로 전단을 북측에 보내겠다고 맞서왔습니다.
최근 한미연합 군사훈련 등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예민해진 상황에서 대북전단 살포는 자칫 남북 간의 물리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남측 정부도 지난주부터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자제를 해당 단체에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천안함 폭침 5주기 나흘을 앞둔 23일, 대북전단 살포를 주도해 온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가 남측 언론을 상대로 "전단 살포를 당분간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함께 하기로 했던 다른 단체와도 이미 살포 중단을 상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박 대표는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측의 사과를 기다리고, 그 후 재개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당분간이라는 게 며칠이 될 수 있고, 한 달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일단 북한의 태도를 지켜보겠습니다. 북한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 인정하고 사과만 하면 우리는 앞으로도 계속 뿌리지 않겠습니다.
박 대표가 대북전단 살포를 갑자기 철회한 이유는 최근 북측의 위협과 이에 따른 여론 악화가 종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이미 정부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여러 차례 전달했기 때문에 해당 단체도 정부 입장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체 측에 대한 정부의 조치는 앞으로 상황을 보아가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이번 천안함 폭침 5주년 대북전단 살포는 탈북자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을 포함해 국민행동본부와 대북전단보내기국민연합 등 보수단체가 함께했습니다.
이들 단체는 대북전단 50만 장을 비롯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다룬 영화 '인터뷰' 편집분을 담은 USB와 알판 5천 개씩 날려 보낼 예정이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