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에서 진보 성향의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남북교류가 재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벌써부터 한 민간단체가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 재개를 위해 남측 정부와 접촉 중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의 대북 민간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북측과 인도적 지원사업을 논의하기 위해서 얼마전 남측 정부에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했습니다.
홍상영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국장: 남북교류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기보다는 우리 민간단체가 먼저 물꼬를 트는 게 필요할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려면 북한과 접촉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한 작업으로 정부에 북한 접촉 신고를 한 겁니다.
홍 국장은 "과거 박근헤 정부 시절에는 모든 남북교류 사업과 북한 주민접촉이 불허됐기 때문에 민간단체의 이러한 시도는 무의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홍 국장은 이어 "대북제재 국면이라는 이유로 민간의 인도적 대북지원을 막는 것은 안 된다"며 "통일부가 이번 북한 주민 접촉 신청에 대해서 승인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통일부는 지난 10일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북정책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11일 개성공업지구 사업 운영 재개가 유엔 대북제재에 위배되는지와 관련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해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이번 대북접촉 신청도 통일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 북핵 문제를 풀어가면서 남북관계 전반을 개선한다는 게 새 정부의 대북정책인데요. 동시에 인도적 지원사업이라든지 영유아 지원사업 같은 것은 지금 남북관계 상황과 관계없이 추진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흐름 속에서 남측 정부가 남북교류를 당장 재개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더구나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거나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새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이 비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통일부의 이번 대북접촉 승인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