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방북 의사 전달 방식으로 고민 중

0:00 / 0:00

앵커: 북한의 개성공업지구 무단 가동을 확인하기 위한 남한 기업인들의 방북 신청이 이뤄진 가운데 남한의 통일부는 이르면 이번 주 내에 방북 의사를 북한 측에 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12일 방북 신청서를 통일부에 접수한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들은 방북 승인 여부가 나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를 의식한 듯 통일부는 16일 오전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의 입장을 밝혔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문제가 매듭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통일부는 이르면 이번 주 내에 방북 의사를 북한 측에 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남북 당국의 연락 통로가 끊긴 상태여서 연락 방법이 여의치가 않습니다.

현재로선 언론을 통해 전달하는 게 효과적인데 통일부는 대변인 명의로 입장을 발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

기업인들이 방북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북한 당국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통일부는 기업인들의 신변안전에 대한 보장이 있어야 방북이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한반도 정세와 경색된 남북관계를 감안할 때 북한이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하기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 지금 북한 당국의 정책 우선순위에서 특히 개성공단은 뒤로 밀려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북한이 응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봅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8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우리가 무슨 일을 하든, 누구도 상관할 바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지난 6일에도 "개성공업지구에 대한 주권은 북한에 있다"며 "공장들은 더욱 힘차게 돌아갈 것"이라고 밝혀 개성공업지구 재가동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