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전말을 공개하고 회담 결렬의 책임을 남측에 돌린 데 대해 한국 정부는 사실 왜곡이라며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예정된 2차 고위급 접촉은 남북이 합의한 만큼 지켜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15일 판문점에서 열린 군사당국자 접촉 과정을 놓고 남북이 진실 공방을 계속 벌이고 있습니다. 남측의 국방부는 17일 오전 정례회견에서 "북측이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내용을 일방적으로 왜곡해 공개했다"며 전날에 이어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북측이 지난 15일 개최된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관련해서 내용을 일방적으로 왜곡하여 공개하고, 민간단체에 대해 위협까지 가한 것은 유감입니다.
국방부는 북측이 지난 14일 대표단 명단을 통보할 때 '비공개 접촉'임을 명시했다며, 남측의 요구 때문에 회담이 비공개로 이뤄졌다는 북측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국방부는 또 북측이 최초 통지문을 통해 김관진 안보실장과의 '긴급 단독 접촉'을 제의하면서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아닌 김영철 정찰총국장이 특사로 나올 것이라고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16일 북측의 공개보도를 보면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의 '긴급 단독 접촉'을 제의했다고만 주장했지 김영철 특사를 지목했다는 얘기는 없습니다. 이 역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한 사안입니다.
이와 함께 서해상 충돌을 막기 위한 제안을 내놨지만, 남측이 고위급 접촉에서 다루자면서 토의를 거부했다는 북측의 주장에 대해서도 국방부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오히려 "서해상 충돌 방지와 신뢰구축을 위해 군사 당국간 직통전화 설치 등을 제의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아울러 국방부는 군사 당국자 접촉으로 남북이 갈등을 빚고 있지만, 예정된 2차 고위급 접촉은 남북 간의 합의한 사안인 만큼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정부는 대화를 통해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긴장완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제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이 남북이 합의한 대로 예정대로 개최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러나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전말과 회담 결렬 책임에 대해 남북의 주장이 계속 엇갈리면서 제2차 고위급 접촉의 성사는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실제로 북측은 오는 30일 고위급 접촉을 열자는 13일 남측의 제안에 아직 답변을 보내오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이날 정례회견이 끝난 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남북 군사 당국자 접촉에서 북측은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과 관련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북측은 "기존의 원칙만을 주장할 뿐, 유감 표명이나 사과는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