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25일 남측 보수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와 관련하여 북측이 남측 정부가 전단 살포를 묵인했다며, 2차 고위급 접촉의 무산 가능성을 암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남측 정부는 "고위급 접촉은 남북이 합의한 대로 개최되어야 한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전단을 둘러싼 남북 갈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25일 낮 파주 임진각과 인근 통일동산에서 진행하려던 대북전단 살포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자 몰래 빠져나온 일부 보수단체 회원들이 저녁때 김포 지역에서 전단을 날려 보냈습니다.
이를 두고 북측이 26일 오전 남측 청와대 국가안보실 앞으로 대북전단 살포에 항의하는 전화통지문을 보냈습니다. 북측은 전통문에서 "남측 정부가 전단 살포를 방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북한은 전통문에서 10월 25일 보수단체들의 주간 전단 살포 계획은 무산되었으나, 우리 당국이 저녁 시간을 이용한 전단 살포를 강행하도록 방임하였다고 주장하고, 이는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살리자는 북측의 요구를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북측은 또한 "고위급 접촉이 이런 분위기에서 이뤄질 수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남측 정부를 압박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북측이 대북전단을 빌미로 고위급 접촉에 응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남측 정부는 일단 북측의 태도를 조금 더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남측 정부는 27일 오전 북측으로 전화통지문을 보내 "합의한 대로 고위급 접촉이 열려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우리 민간단체들의 전단 살포와 관련하여 법적 근거 없이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제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밝히는 한편, 이미 남북이 개최에 합의하고 우리 측이 일시와 장소를 제의한 제2차 고위급 접촉에 대한 입장부터 분명히 밝힐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2차 남북고위급 접촉은 황병서 북한군 총치국장 일행이 지난 4일 인천을 방문했을 때 합의한 것입니다.
당시 북측은 "10월 말에서 11월 초 남측이 편리한 시기를 제시해달라"고 말했고, 남측은 "10월 30일 판문점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해 놓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북측은 서해 북방한계선 문제와 대북전단 문제 등을 빌미로 2주 넘게 답변을 미룬 채 대남 비방만 펼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재완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