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관급 당국회담도 ‘가시밭길’ 예고

0:00 / 0:00

앵커: 남북이 다음 달 11일 개성에서 차관급 당국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는데요. 일부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가 아니라는 평가가 있지만, 중단됐던 당국회담이 복원됐다는 점에서 의미 있게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6일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남북 실무접촉에서 남북은 마라톤협상 끝에 극적인 합의를 이뤄냈습니다. 남한 언론은 당국회담의 개최 시기와 장소 등 합의사항을 신속히 보도했습니다.

가장 큰 쟁점이 회담의 격이었는데 당초 예상과 달리 장관급에서 차관급으로 낮춰졌습니다. 남한은 합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장관급에서 차관급으로 선회했고, 북한도 차관급으로 하자고 호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우리 측은 이번에 논의하는 당국회담은 지난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의 후속회담 성격인 만큼 수석대표를 차관급으로 하자고 제의하였고, 북한도 부상급을 단장으로 하자고 제안하였습니다.

회담 장소의 경우 지난 8.25고위급 접촉에서 서울 또는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지만, 북한이 이번 실무접촉에서 개성을 고집하면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당초 우리 쪽은 서울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했는데요. 북한이 먼저 왕래의 번거로움을 피하면서 개성, 금강산, 판문점 등에서 회담을 하자고 제의했습니다. 여러 가지 상황을 감안해서 우선 1차 남북 당국회담은 개성에서 개최하기로 합의가 된 것입니다.

통일부는 이번 실무접촉에서 가장 쟁점이 됐던 부분은 의제 문제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남북 양측의 입장을 모두 반영해 현안 전반을 포괄적으로 다루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관광 재개 등 남북관계 현안들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실무접촉 합의와 관련하여 남북관계 전문가들은 중단됐던 당국회담이 복원됐다는 점에서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남북 간의 입장차이가 커 앞으로 열리는 당국회담에서도 난항이 예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