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중단, 최순실과 무관”

0:00 / 0:00

앵커: 개성공업지구 입주 기업들이 공업지구 폐쇄 결정 과정에 '비선 실세' 최순실의 개입이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한데 대해 남한의 통일부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정치적 결단에서 개성공업지구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 폐쇄 최순실 비선 개입 웬 말이냐, 특검 수사 촉구한다"

개성공단기업협회 임원진 20여 명이 15일 오전 서울 강남구 특별검사 사무실 앞에서 "개성공업지구 폐쇄 결정 과정 이면에 '비선 실세' 최순실의 개입 의혹이 있다"며 국회 특별검사팀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집회가 끝나고 수사 요청서를 특검팀에 전달했습니다. 이들은 수사 요청서에서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있었던 2월 7일만 해도 공업지구 체류 인원 축소만 언급됐을 뿐, 개성공업지구 전면 중단에 대해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그러다 갑자기 3일 후 개성공업지구 전면중단 선언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 올해 2월 초까지 청와대와 정부는 개성공단은 대북제재 수단이 아니라는 일관된 정책을 견지하였고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했던 2월 7일 당일에도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개성공단 폐쇄는 안건으로도 올라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한 사람의 생각으로 모든 것들이 좌지우지됐다고 보는 것은 억측이고 그것에 대한 근거도 없다"며 최순실 씨가 개성공업지구 가동 중단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개성공단을 전면 중단함으로써 북쪽에 대한 압박, 그리고 핵 비핵화 쪽으로 유도하려는 그런 고육지책에서 나온 정치적 결단입니다.

한편 개성공업지구가 폐쇄된 지 10개월이 지났지만, 입주 기업들은 아직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습니다. 입주 기업 녹색섬유의 박용만 대표는 "피해 보상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액이 잘 조달되고 남북관계가 개선된다면 다시 개성으로 갈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박용만 녹색섬유 대표: 개성공단이 재개될 때까지 기업들이 체력을 회복하는 게 급선무이고요. 그때까지 우리는 심기일전해서 재개 준비를 해야 될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월 10일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응해 개성공업지구의 가동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북한은 이에 맞서 다음날인 11일 공업지구 폐쇄를 선언하고 개성공업지구에 있는 남한 자산을 모두 몰수하고 동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