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의 대북제재와 관련해 남한 정부는 5일 "향후 북한의 태도를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일 추가 대북제재를 위한 행정명령을 발동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인터넷 공격과 관련해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워싱턴 현지 시간으로 지난 2일 발동한 행정명령이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행정명령은 북한이 미국의 영화 제작사인 소니 픽처스를 인터넷 상에서 공격하는 '해킹'을 한 것과 관련해 오바마 대통령이 "비례적 대응" 원칙을 밝힌 지 14일만에 나왔습니다.
또한 남한의 통일준비위원회가 지난달 29일 남북 대화를 제의하고, 이어서 김정은 제1비서가 신년사를 통해 '남북 정상회담도 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하는 등 남북 간 대화 분위기가 형성되는 가운데 이번 행정명령이 발동됐습니다.
남측의 몇몇 언론은 '왜 하필 지금'이냐며 의문을 제기합니다. 5일 통일부 기자 설명회에서도 '미국의 대북제재가 남북간 대화 분위기와 연관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임병철 대변인은 원칙적 답변을 내놨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이번 조치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 어떤 상황을 예단하여, 이것이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미리 우리 정부가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앞으로 향후 북한의 태도나 관련 상황을 우리 정부는 예의주시해 나가도록 할 예정입니다.
서울에 있는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대북제재 조치를 1월 초에 발표할 것임을 이미 한 주 전에 한국 정부에 알려왔다"고 말했습니다.
소니 해킹 사건에 '비례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 이후 미국 정부가 검토한 조치를 이번에 발표한 것일 뿐 "최근 한반도에서 형성되고 있는 대화 분위기와는 관련이 없다는 뜻"이라고 이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남한의 외교부는 3일 미국의 행정명령 발표와 관련해 대변인 논평을 내고 "적절한 대응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하와이 휴가 중 발동한 이번 행정명령은 북한의 정찰총국 등 단체 3곳과 개인 10명을 제재 대상으로 정하는 내용입니다. 제재 대상에 오른 단체와 개인은 앞으로 미국의 금융 시스템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고 미국의 기업이나 개인도 이들과 거래할 수 없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