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이 대화 제의를 수용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또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갖자고 다시 한 번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관련한 '깜짝' 발언은 없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집권 3년차를 맞은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경제'를 42차례로 가장 많이 언급하며 경제 활성화를 통한 국가 "부흥"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이밖에 '통일' 10차례, '광복' 6차례, '북한' 5차례, 그리고 '남북'을 4차례 언급했고, "평화통일의 기반을 잘 닦는 것이 나의 사명"이라고 말하는 등 북한 문제에도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다만 북한과 관련한 새로운 제안은 없었습니다. 지난 12월 대통령 직속 민관협력 기구인 통일준비위원회가 제시한 남북간 대화와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다시 한 번 강조한 게 눈에 띕니다.
박근혜 대통령: 북한은 더 이상 주저하지 말고, 대화에 응해야 합니다.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부터 북한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민족 동질성 회복 작업 등에 남북한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여 함께 통일의 문을 열어가길 바랍니다.
특히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생존해 계신 분들의 연세를 고려할 때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며 "이번 설을 전후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북한이 열린 마음으로 응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정은 제1비서의 '최고위급 회담도 못할 이유가 없다'는 신년사 발언 이후 관심을 끌고 있는 남북 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전제 조건은 없다"면서도 북한의 '진정성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북측이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는 사안으로 박 대통령은 북핵 문제를 예로 들면서, "이것이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은 아니지만, 이 문제의 해결이 없는 상태로 평화통일을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북핵 문제를 "남북간 또는 다자 협의를 통해 대화로 풀어나가야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5.24 대북제재의 해제 문제와 관련해서도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보상이라는 잘못된 관행을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차원에서 이 조치를 유지해 왔다"면서,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어쨌든 당국자 간에 만나서 이야기를 나눠 접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남북한 주요 현안에 대해 언급할 때마다 박 대통령은 남측의 대화 제의를 북측이 받아들일 것을 촉구한 셈입니다. 남측 정부는 지난해 8월 제2차 남북 고위급접촉을 제안한 데 이어 지난 12월 29일에는 통일준비위원회를 통해 북측에 1월에 대화를 하자고 전격 제의한 바 있습니다.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총 90분간 진행됐습니다. 박 대통령은 25분간 모두발언을 통해 신년구상을 밝힌 후 16명의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았습니다. 회견에는 내외신 기자 12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