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제의는 1월 넘어도 유효”

0:00 / 0:00

앵커: 남한 정부는 26일 북측과의 대화를 추진함에 있어 1월이라는 시한에 얽매이지는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입장은 북측이 남측의 대화 제의에 한 달 넘게 호응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이 대남 비방과 협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남북 대화가 1월 중 시작되기는 힘든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자 남측 통일부는 시한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26일 정례 기자 설명회에서 "정부의 대화 제의는 1월이 넘어가더라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남측 통일준비위원회는 지난 12월 29일 북측에 "1월에 대화를 하자"고 제의한 바 있습니다.

임 대변인은 "어떤 시한을 정해놓고 우리가 북한 정부의 호응을 촉구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언제라도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일방적 주장을 하지 말고 대화의 장에 호응해 나와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북한 나름대로의 사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만, 그러한 것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진정으로 남북관계 개선에 의지가 있다면 일단 대화의 장에 나와서 북한이 원하는 관심사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와 포괄적으로 협의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 온당한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임 대변인은 북측이 신년사에서 대화와 교류에 대한 의지를 밝힌 점에 비춰 볼 때 남측과의 대화 의지는 여전히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대화 제의를 북측에 내놓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앞으로 북한의 반응이나 향후 남북관계 상황을 지켜보면서 여러가지 대응 방안을 검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임병철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는 한미 연합훈련의 중단이나 5.24 대북제재 조치의 해제 등과 같은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임 대변인은 "북한이 내세우는 전제조건들은 일단 대화의 장에 나와서 협의해서 해결해야 될 문제"라며 "대화의 장이 개최되기도 전에 그런 부당한 전제조건을 들어준다는 것은 앞으로 남북관계의 근본적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통일부의 이 같은 반응은 북측이 25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성명을 내고 "단호한 징벌"을 언급하며 남측의 대북정책 전환을 다시 한 번 촉구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이에 남측은 통일부 대변인 성명을 내고 북측이 남측의 대화 제의에 대해 한 달 가까이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남측을 위협까지 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