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국과 마주앉을 필요 없다”

0:00 / 0:00

앵커: 북한의 최고 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가 "미국과 마주앉을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상황과는 별개로 남한의 통일부는 남북 대화를 추진한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 국방위원회는 4일 성명을 내고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북한 붕괴' 발언 등을 문제 삼으며 "미국과 마주 앉을 필요도, 상종할 용의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성명은 미국 본토를 직접 겨냥해 위협했습니다. 미국이 "제 땅에서" "멸망의 쓴맛"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겁니다. 그 방법으로는 "소형화, 정밀화, 다종화된 핵 타격 수단"을 언급했습니다.

북측은 이번 성명이 "위임에 따른 것"이라고 밝혀 김정은 제1비서의 결정이 반영된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북한 문제 전문가들은 북측이 당분간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군사 도발을 "연출"하더라도 러시아나 중국의 입장을 감안해 "수위 조절"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합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통적인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 특히 러시아 방문 문제까지 포함해서 관계개선에 대한 수요와 움직임이 여전히 살아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이런 시위나 긴장고조 움직임이 실질적인 긴장고조와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이 얼마나 될 지는 여전히 좀 신중하게 지켜봐야 합니다.

러시아 정부는 오는 5월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2차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에 김정은 제1비서를 초청한 바 있고 북측도 참석 여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태여서 그 이전에 북한이 핵 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같은 대형 도발을 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습니다.

한편, 이날 남측 통일부는 미국과 북한 간에 긴장이 높아지는 것과 별개로 남북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북미 대화가 최근 그러한 상황에 있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이와는 별개로 우리 정부는 대화와 협력을 통한 남북한의 신뢰를 쌓고 이를 통해서 남북 관계를 발전시키며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함께 통일 기반의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정부의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남측은 지난 12월 대통령 직속 민관 협력기구인 '통일준비위원회'를 통해 북측에 "1월에 대화를 하자"고 제의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북측은 한미 연합훈련 중단과 대북전단 살포 중지, 그리고 5.24 대북제재 해제 등을 대화의 선결조건으로 요구하며 남측의 제안에 호응하지 않았습니다.

남한 정부는 일단 대화가 시작되면 북측이 다루기 원하는 의제를 포함해 폭넓은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