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국방부는 4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이 대한민국 영토나 영해에 떨어지면 요격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7일까지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를 완료하기 위해 현재 로켓 추진체를 발사대에 장착하는 작업을 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한국 정부 소식통이 추정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국제해사기구 등에 장거리 미사일을 2월 8일~25일 사이에 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서울에 있는 정부 소식통은 "과거 북한은 발사 예고 기간이 시작되기 5일 전부터는 발사대에 추진체를 세우는 작업을 했다"며 "오는 8일부터 쏠 수 있게 하려면 지금은 추진체를 세우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을 것"이라고 연합뉴스에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8일 기상상태가 최고라면 8일에도 발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남한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를 이틀째 비판하며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4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이 남측 영토나 영해에 떨어지면 요격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미사일 또는 잔해물 일부가 우리 영토에 낙하할 경우 요격할 수 있도록 방공작전태세를 강화하고 있고, 이로 인해 우리 영토 내 낙탄 지역과 피해 정도에 따라서 자위권 차원의 응당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남측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을 탐지 추적하기 위한 준비도 완료한 상태입니다.
문 대변인은 "현재 군에선 그린파인 레이더와 이지스함, 그리고 피스아이 등 가용한 감시자산을 총가동해 북측을 감시하고 있다"며 "유관기관과도 긴밀한 협조 하에 신속한 경보 전파 등 국민의 안전을 위한 조치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4일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김성우 홍보수석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의 오판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강력한 유엔 제재"라고 말했습니다. 청와대가 의미하는 '혹독한 대가'는 "강력한 유엔 제재"임을 재확인한 셈입니다. 하루 전 청와대는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쏠 경우 "혹독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정부 공식입장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날 성명을 통해 박 대통령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도를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킬 의지가 없이 오직 북한 체제를 지속하기 위한 수단이자 고육책"이라고 규정하고 "앞으로도 체제 유지를 위해 국제사회를 향한 협박을 계속하겠다는 뜻"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유엔제재가 논의되고 있는 와중에 또다시 도발하겠다고 공표하는 것은 유엔 제재를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킬 의지가 없는 것"이라고도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국제사회가 깨닫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