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도발 대비 감시 강화”

0:00 / 0:00

앵커: 개성공단 운영이 "전면 중단"된 가운데 한국의 국방부는 북한군의 도발에 대비해 감시를 강화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북측 장거리 미사일의 잔해를 인양하는 작업은 11일도 계속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11일 개성공단 지역을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하고 인접한 군사분계선을 전면 봉쇄하는 조치를 취하자 남한의 군 당국은 군사대비 태세와 함께 대북 감시체제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루 전 남측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개성공단 운영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하자 북측은 이날 개성공단을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하고 남측 인원 추방과 자산 동결 조치 등을 취했습니다.

남측 군 관계자는 "북한의 개성공단 봉쇄 이전부터 서부전선 남북관리구역 일대에 군사 대비태세를 강화했다"면서 "북한이 도발할 경우 이를 응징할 수 있는 전력을 보강한 가운데 감시태세를 더욱 강화했다"고 말했습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 우리 군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개성공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우발 상황에 대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습니다.

남측 군의 또다른 관계자는 "서부전선 일대에서 북한군의 병력과 장비가 보강되는 등의 특이 동향은 식별되지 않았다"면서 "다만, 개성공단 지역에서는 북한군의 활동이 많았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남측 해군은 이날 새벽 서해 어청도 서남쪽 해역에서 북측 장거리 미사일의 추진체 연소가스 분사구로 추정되는 잔해 3점을 인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잔해가 미사일 추진체 연소가스 분사구로 확인될 경우 북한의 미사일 기술 수준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남측 군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남측 해군은 지난 8일에는 어청도 서남쪽 75마일 지점에서 북측 미사일의 1, 2단 추진체 연결부로 추정되는 잔해를 발견했고, 북측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당일인 7일에는 제주 서남쪽 해역에서 페어링(덮개)을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수거했습니다.

남측 해군은 7일부터 서해상에서 기뢰제거용 함정과 구조함 등 모두 15척의 함정을 투입해 미사일 잔해 수색과 인양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