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과 미국이 '공동의 대북 접근안'을 조만간 구체화할 예정입니다. 이는 지난주 독일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의 후속 조치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독일 본에서 현지시간으로 지난 16일 열린 첫번째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북핵 문제에 대한 '공동의 대응방안'과 관련해 남측의 생각을 "매우 구체적으로 공유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독특하고도 독특한 북한 정권의 속성에 맞는 북핵 해법과 관련해 구체적인 전략과 지침(로드맵)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는 겁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이번 한미 외교장관회담 결과, 가까운 시일 내에 김홍균 한반도본부장 방미를 통해서 공동의 대응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퍼즐을 맞추는 작업을 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발표가 조만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난 16일 회담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북한의 '핵 동결'에 대해 보상하는 협상을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남한의 연합뉴스는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이미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추가 핵실험 중단은 의미가 크지 않으며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의 경우 동결에 대한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협상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겁니다.
또한 윤 장관은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과 북한 비핵화 협상을 동시에 진행하는 이른바 '병행 협상'에 대해서도 북한에 비핵화를 지연하는 빌미를 줄 수 있다며 틸러슨 장관에게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병세 장관은 북핵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중국을 매개로 한 대북 압박 강화, 북한 인권문제 제기와 대북 정보유입 강화 등을 통한 포괄적인 대북 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0:00 / 0:00